문제
인하은행에는 ATM이 1대밖에 없다. 지금 이 ATM앞에 N명의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 사람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i번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Pi분이다.
사람들이 줄을 서는 순서에 따라서,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총 5명이 있고, P1 = 3, P2 = 1, P3 = 4, P4 = 3, P5 = 2 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1, 2, 3, 4, 5] 순서로 줄을 선다면, 1번 사람은 3분만에 돈을 뽑을 수 있다. 2번 사람은 1번 사람이 돈을 뽑을 때 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3+1 = 4분이 걸리게 된다. 3번 사람은 1번, 2번 사람이 돈을 뽑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총 3+1+4 = 8분이 필요하게 된다. 4번 사람은 3+1+4+3 = 11분, 5번 사람은 3+1+4+3+2 = 13분이 걸리게 된다. 이 경우에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은 3+4+8+11+13 = 39분이 된다.
줄을 [2, 5, 1, 4, 3] 순서로 줄을 서면, 2번 사람은 1분만에, 5번 사람은 1+2 = 3분, 1번 사람은 1+2+3 = 6분, 4번 사람은 1+2+3+3 = 9분, 3번 사람은 1+2+3+3+4 = 13분이 걸리게 된다.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은 1+3+6+9+13 = 32분이다. 이 방법보다 더 필요한 시간의 합을 최소로 만들 수는 없다.
줄을 서 있는 사람의 수 N과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Pi가 주어졌을 때,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Pi가 주어진다. (1 ≤ Pi ≤ 1,000)
출력
첫째 줄에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n = int(input())
p = list(map(int,input().split()))
time = 0
result = 0
p.sort()
for j in range(n):
time = time + p[j]
result = result + time
print(result)
답안 설명
정보처리기사 공부 할 때 봤던 SJF알고리즘이었기에 반가웠다. 대기시간이란 앞서 프로세스가 처리되는 시간을 모두 합한 값이라는 것과 SJF를 이용할 경우 처리 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그 중요도에 관계 없이 계속 처리 순번이 밀리는 부작용이 있다는 점들이 떠올랐다.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했던 게 유익했던 순간.
본격적으로 코드를 풀어쓰자면 각각의 사람의 처리시간(대기시간 + 본인 처리시간)은 time변수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값은 재활용하여 뒷 사람의 대기 시간으로 활용한다. 산출된 처리 시간은 result 값에 저장하여 총 처리 시간을 출력한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몰라도 시작하자 (0) | 2022.01.18 |
---|---|
파이썬 - 공부 계기 (0) | 2022.01.07 |
설탕 배달(백준2839) (0) | 2021.05.12 |
알람 시계(백준 2884) (0) | 2021.05.12 |
윤년(백준 2753번)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