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첫 포스팅에서 적었듯이 나는 데이터 프로젝트에 들어왔다. PL님이 내게 파이썬을 할 줄 아느냐고 물었고 나는 모른다고 대답했다. 모르면 끝나느냐? 그건 아니었다. PL님이 내게 모르면 알려주겠다면서 일단 파이썬과 파이참, 아나콘다, 주피터 노트북부터 깔고 보자고 이야기했다. 처음 듣는 단어들이었지만 사회생활 막 시작한 입장에서는 '...네!'라고 대답하는 수밖에 없었다.
일단은 구글링.
파이썬은 이래저래 얻어들어서 알고 있는 게 있었다. 자바랑 비교하면 코드도 짧고 편리하며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인터프리터 언어라 좀 느리고 컴파일을 안 하고. 빅데이터, 딥러닝, 데이터 관련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이참은 IDE였다. 처음 들었을 때는 뭔가 했는데, IntellJ의 파이썬 버전. 젯브레인에서 개발했고, 무료 버전, 프리미엄 버전이 있는데, 당연히 무료버전으로 설치
아나콘다는 파이썬의 수학 과학 관련 패키지 버전을 관리하여 프로그램의 안정적인 환경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근데 사실 내가 하고 있는 작업에는 딱히 패키지를 관리할 일이 없었기에 설치는 했으나 쓰이지는 않았다.
주피터 노트북은 웹상에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 실행해볼 수 있는 툴이다. IDE에서 작성하는 것과 다른 점은 필요한 구간별로 나누어서 결과값을 볼 수가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사실 실무에서 굳이 주피터 노트북을 쓸 이유를 찾을 수 없었기에 마찬가지로 설치만 하고 쓰지는 않았다.
각각의 설치 방법은 구글에 검색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아나콘다나 주피터 노트북은 설치만 하고 쓰지를 않아서 그 실용성은 알 수 없었지만 데이터 분야에서는 저런 요소를 적극활용한다는 것을 알아간 것만 해도 많은 것을 알게 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웹페이지 정보를 본다는 건? (0) | 2022.01.19 |
---|---|
파이썬 - 크롤링이 뭔데? (0) | 2022.01.18 |
파이썬 - 공부 계기 (0) | 2022.01.07 |
ATM(백준11399) (0) | 2021.05.14 |
설탕 배달(백준2839)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