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기

개발환경 구축 - 2

초롱불 2021. 7. 16. 00:32

이전 글에 이어서 이클립스(STS) 설치... 하기 이전에 메이븐부터

메이븐 홈페이지에서 설치파일 다운

 

설치는 간단하다. 원하는 경로에 압축을 풀면 될 뿐이다. 다만 maven도 cmd창에서 어느 곳에서나 이용하려면 경로를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

환경변수 추가

이제 진짜 sts를 설치해보자

STS설치파일 설치

설치 파일을 받고 실행하려는데 'A Java exception has occurred' 생겼다.

아무래도 JAVA버전 문제인 듯해서 최신 버전의 자바를 설치하고 잠시 동안 환경 변수의 경로도 변경했다.

문제 해결하느라 스크린 샷을 찍지는 못했는데 문제없이 해결되었다.

익숙한 실행화면

자 이제, 자신의 입맞에 맞는 이클립스로 개조해보자. 일단 눈이 아프니 다크모드부터.

메뉴창에서 help -> Marketplace

설치하고, 동의하라면 하고, 재시작하라고 하면 재시작하면 된다.

개발환경 투입되었을 때 무언가 새로운 툴을 설치하는 데에 두려움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들었다.

사실 내가 적어갈 소스 코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면 어떤 도구를 써도 좋다.

웹개발을 위한 종합 툴, HTML CSS JSON에디터인 Eclips Web Developer Tools 설치
vim에디터 사용자로서 설치
투입 프로젝트에서 스프링 3.2를 쓴다기에 추가 설치하는 sts3

이 외에도 필요한 툴들을 설치했다면 이클립스의 내부 설정을 건드려 보자.

이클립스의 전반적인 설정은 window -> Preferences에서 가능하다

1. 주석 설정

 

preferences에서 java-codestyle-code template-comments 에서 완성되는 주석을 수정한다.
메소드 주석도 수정해준다.

이런 식으로 주석을 미리 짜놓으면 남과 내가 알아보기 좋게 코드를 짜나갈 수 있다.

 

2. UTF-8 인코딩 설정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s > spelling 에서 Encoding Other: UTF-8
general > workspace 에서 Text file encoding Ohter: UTF-8
web > css file 에서 encoding: ISO10646Unicode(UTF-8)로 수정
web > html files 도 UTF-8로
web > jsp files 도 수정

jsp파일 설정이 없어서 잠시 헤메었는데, 마켓 플레이스에서 java and web developer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해결했다.

 

이 외에도 세이브시 자동 정렬 설정 등을 함으로서 개발 편의를 위한 기능을 추가했다.

앞으로 어떤 기능이 필요할지 모르기에 이 정도로 마무리 짓자. 필요해지면 그때 추가해도 늦지 않다. 이클립스는 오픈 소스이고 그렇기에 플러그인의 세계는 무궁무진하기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분명히 그 기능이 있을 거라고 본다. 없으면 만들어보는 것도 개발자의 자세일 것이다.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새긴 교훈  (0) 2022.02.10
휴일 일기  (0) 2022.02.10
개발환경 구축 - 1  (0) 2021.07.14
토비의 스프링 AOP장까지 마무리 짓고 느낀 점  (0) 2021.06.09
AOP는 어렵다  (0) 202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