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토비의 스프링을 6장까지 공부하고 DI, IoC, AOP에 대한 개념이 어느 정도 잡힌 듯했다. 하지만 7장 이후로 공부해나가면서 더 이상 학습하는 것에 큰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토비의 스프링이 발간되었을 때와 지금의 개발 환경은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었다. 스프링에 대한 개념을 기본부터 다지고, 개발자로서 좋은 코드라는 게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개념을 세우는 기본적인 교과서로서 반복을 줄이고, 기능 관점 별로 분리하고 하는 것에 대한 개념을 잡는데는 유용했지만 현재 개발 환경 기준의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그 도구들을 익히는 것은 다른 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스프링3.1 관련 개발 도구를 익히는 것은 현재 스프링5가 돌아가고 스프링부트2가 활용되고 있는 시점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느꼈다. 따라서 선택한 새로운 학습 책이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http://www.yes24.com/Product/Goods/83849117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YES24
가장 빠르고 쉽게 웹 서비스의 모든 과정을 경험한다. 경험이 실력이 되는 순간!이 책은 제목 그대로 스프링 부트와 AWS로 웹 서비스를 구현한다. JPA와 JUnit 테스트, 그레이들, 머스테치, 스프링
www.yes24.com
이 책이었다. 스프링 부트와 JPA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었던 내게 매우 적절한 책이라고 느껴졌고 이를 따라하며 내가 만들던 프로젝트를 다시금 완성시켜 나가는 작업을 해보고자 한다.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인텔리제이의 설치와 그레이들 설정, 깃허브 커밋까지 해보았다. 이 부분은 블로그로 정리하면서 복습할 필요는 없다고 느끼는 부분이기에 깃허브 소스 주소를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https://github.com/cholongbul/aws-springboot
cholongbul/aws-springboot
aws-springboot 웹서비스 책 따라하기. Contribute to cholongbul/aws-springbo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실습 끝! (0) | 2021.06.21 |
---|---|
AWS RDS MariaDB 연결 문제.. (0) | 2021.06.19 |
토비의 스프링 - 3.4 컨텍스트와 DI (0) | 2021.06.18 |
토비의 스프링 - 3.3 JDBC 전략 패턴의 최적화 (0) | 2021.06.03 |
토비의 스프링 - 3.1 다시보는 초난감 DAO // 3.2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0) | 202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