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급효과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어 많은 기능들이 데이터와 엮이며 애플리케이션이 완성되어갈 때 데이터 모델의 변경이 이루어진다면 기능들의 정상적인 동작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영향이 미친다. 따라서 시스템 구축 작업에서 데이터 모델에 대한 적절한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복잡한 정보 요구사항의 간결한 표현
시스템 정보 요구사항과 한계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 데이터 모델을 확인하면서 기능적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따라서 데이터 모델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3. 데이터 품질
데이터 모델링을 통하여 구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품질 저하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모델링 시 유의점
1) 중복 데이터 모델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 시간, 장소를 파악하는데에 도움을 주어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잘못을 하지 않도록 한다.
2) 비유연성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정의를 데이터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혹은 프로세스의 작은 변화가 데이터베이스의 큰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줄인다
3) 비일관성 데이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데이터 간의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해야한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정보시각화능력 필기 합격 후기 (0) | 2025.02.10 |
---|---|
SQLP 시험 후기 (0) | 2024.08.25 |
SQLD - 데이터 모델의 기본 개념의 이해 (0) | 2022.05.02 |
SQLD - 모델링의 이해 (0) | 2022.05.02 |
SQLD - 1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