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

DW/ETL - BI 이해

초롱불 2024. 6. 23. 13:58

개요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를 위해 구축된다. BI는 데이터를 통해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목표로한다. 이번 글에서는 BI의 정의와 중요성, 그리고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역할에 대해서 다루어보겠다.

비즈니스 인텔리스전스(BI)란 무엇인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데이터 수집, 통합, 분석, 시각화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전략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과 기술을 의미한다. BI는 데이터를 정보로 정보를 인사이트로, 인사이트를 행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할의 중요성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의사결정 지원: BI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 운영 효율성 향상: BI 도구를 사용하면 기업의 운영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 시장 및 경쟁 분석: BI를 통해 시장 동향과 경쟁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전략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 고객 인사이트: 고객의 행동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BI의 구성 요소

BI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서로 연계되어 데이터의 수집, 처리, 분석, 시각화 및 배포를 담당한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중앙 집중화하여 저장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 ETL 프로세스: 데이터를 추출, 변환, 적재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 데이터 마트: 특정 부서나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이다.
  • OLAP: 다차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잡한 쿼리를 빠르게 처리한다.
  • 데이터 시각화 도구: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한다.
  • 대시보드 및 보고서: 실시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대시보드와 정기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BI의 주요 기능

  • 데이터 분석: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 데이터 시각화: 복잡한 데이터를 그래프, 차트, 지도 등 시각적 요소로 표현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 예측 분석: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잠재적인 트랜드와 패턴을 식별한다.
  • 데이터 마이닝: 대량의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패턴과 관계를 발견한다.
  • 실시간 분석: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실무 관련 경험 정리

다양한 BI도구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가 겪은 실무 기준 나는 SAP Web Intelligence, SAP Lumira, SAP Analytics Cloude를 활용한 프로젝트와 Chart.js, primevue를 사용한 순수 웹개발을 해보았다. 각각의 도구 및 개발 방법에는 많은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 싶기도 하지만 그 부분은 이후 글에서 쓰도록 하고 오늘은 대시보드와 보고서의 차이에 맞추어서 추가적인 설명을 하고자 한다.

SAP WebIntelligence(줄여서 WebI)는 보고서 툴이다. SAP Lumira는 대시보드 툴이다. 둘 다 표를 만들고 차트를 만드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하지만 WebI는 보다 대시보드에 비해서는 워드 프로세스에 가까운 인상을 주는 도구로 사용자에게 표 및 차트와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표나 차트를 만드는 게 비교적 쉬우며 표와 차트에서 분석 차원 및 지표를 넣었다 뺴는 식으로 다양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인 디자인은 제한되어 있고 아래아 한글이나 워드 프로세스 정도의 디자인과 함께 메일로 전송한다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Lumira는 웹 포털에서 볼 수 있는 차트 및 표가 있는 사이트와 같은 화면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디자인적 요소가 보다 풍부하고 한 눈에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하는데에는 유리하다. 하지만 WebI와 같이 차트, 표를 갈아끼워가면서 활용하는 것은 제한적이고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만들어가면서 보는 것도 힘들다. WebI의 경우 엑셀이나 워드 프로세스 교육을 시키듯이 WebI에 대한 교육을 하여 현업들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고 보고서를 올리도록 하는 게 가능하지만 Lumira는 그러한 용도로 쓸 수 없다.

결론

오늘은 BI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았고 실무 경험관련하여서 느꼈던 대시보드와 보고서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BI는 기업이 데이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과를 개선하는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고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ETL을 사용한다.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도착하는 곳이 BI라고 할 수 있다. 현업 담당자 및 임원은 이러한 BI를 통해서 보다 쉽게 데이터를 이해할 수가 있다.